매년 3월24일은 결핵예방의 날입니다!
게시글 작성정보

- 작성자 김천시장애인복지관
- 작성일 15-03-16 00:00
- 조회수 929
- 댓글수 0
게시글 본문
결핵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호흡기로 전염되는 질병이지만 치료를 시작하면 곧바로 전염성이 없어지므로 환자에 대한 격리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2주~3주 이상의 기침이나 가래, 피로감, 체중감소, 미열,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가까운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에서 결핵 검진을 받으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1. 결핵이란?
결핵균에 의한 감염병으로서 전염성이 높아 제3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폐결핵은 결핵균이 폐에 만성 염증을 일으켜 폐를 파괴하는 병입니다. 환자가 사용하는 식기, 의류, 침구, 가구 등 같은 환자의 물건이나 음식을 통해서는 결코 전염 되지 않습니다.
2. 결핵균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모두 결핵환자가 되나요?
결핵균이 몸에 들어와 감염이 되었다고 해도 모두 환자인 것은 아닙니다. 결핵 환자와 접촉한 사람 중 평균 30%만이 결핵에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 중 10%만이 감염 후 환자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결핵은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기침 및 가래, 체중감소, 피로감, 미열, 흉통, 호흡곤란 등
4. 진단 및 치료
➜ 결핵의 진단에는 객담 검사, 흉부 방사선 영상, 조직검사 등이 이용됩니다.
➜ 결핵은 치료만 올바로 해주면 거의100% 치료가 가능합니다. 첫째, 약제의 처방이 적절해야 하고 둘째 규칙적인 복용, 셋째 충분한 용량, 그리고 넷째 소요기간동안 투약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1. 결핵이란?
결핵균에 의한 감염병으로서 전염성이 높아 제3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폐결핵은 결핵균이 폐에 만성 염증을 일으켜 폐를 파괴하는 병입니다. 환자가 사용하는 식기, 의류, 침구, 가구 등 같은 환자의 물건이나 음식을 통해서는 결코 전염 되지 않습니다.
2. 결핵균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모두 결핵환자가 되나요?
결핵균이 몸에 들어와 감염이 되었다고 해도 모두 환자인 것은 아닙니다. 결핵 환자와 접촉한 사람 중 평균 30%만이 결핵에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 중 10%만이 감염 후 환자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결핵은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기침 및 가래, 체중감소, 피로감, 미열, 흉통, 호흡곤란 등
4. 진단 및 치료
➜ 결핵의 진단에는 객담 검사, 흉부 방사선 영상, 조직검사 등이 이용됩니다.
➜ 결핵은 치료만 올바로 해주면 거의100% 치료가 가능합니다. 첫째, 약제의 처방이 적절해야 하고 둘째 규칙적인 복용, 셋째 충분한 용량, 그리고 넷째 소요기간동안 투약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첨부파일
1개-
이전글
-
다음글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